728x90
반응형
Server
- OS : CentOs7
- miniconda env 환경
- Python version : 3.9.7
- matplotlib : 3.4.3
docker 내부에 chart그래프를 생성하는 flask서버를 셋팅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류이다.
에러메세지를 확인하니 font를 찾지 못하여 오류가 났다.
findfont: Font family ['NanumGothic'] not found. Falling back to DejaVu Sans.
matplotlib 한글 오류 해결하는 글들이 많았는데, 여러가지 시행착오 하다가 해결한 방법을 기록하게 되었다!
1. 현재 서버에 내가 사용하려는 폰트가 있는지 확인!
/usr/share/fonts
이 경로에서 폰트 확인을 할 수 있는데, ' DejaVu Sans ' 이 폰트만 있었다.
2. 사용하고자 하는 font 설치하기!
( NanumGothic을 이 폴더에 설치했다)
1.경로위치
/usr/share/fonts/
2. 이 경로에서 폰트 다운 명령어를 입력한다.
wget http://cdn.naver.com/naver/NanumFont/fontfiles/NanumFont_TTF_ALL.zip
3. 다운받은 zip파일 압축해제하기!
unzip NanumFont_TTF_ALL.zip -d NanumFont
만약, bash: unzip: command not found 이런 문구가 뜬다면 unzip을 설치하고, 다시 압축해제 명령어 입력하면 된다!
# yum install unzip
다운이 다 되면 Nanum폰트들을 볼 수 있다.
다운받은 zip파일을 삭제 해준다!
# rm -f NanumFont_TTF_ALL.zip
폰트를 새로 설치 했기 때문에 캐시를 삭제했다.
# fc-cache -f -v
3. matplotlib font 캐시 삭제하기
matplotlib에 남아있는 폰트 목록 캐시를 삭제한다. 새로 폰트를 적용했기 때문에 이 캐시에는 설치한 폰트목록이 없을것이다.
1. 이 경로로 이동한다.
# cd ~/.cache/matplotlib
2. 폰트 목록 삭제하기
# rm -rf fontlist-v330.json
크게 이 세가지를 했더니,
차트에서 깨지던 한글이 잘 나왔다!!
728x90
반응형
'오류 이모저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ode.js / Error: bind EADDRINUSE null:1091 (0) | 2022.03.25 |
---|---|
CommandNotFoundError: Your shell has not been properly configured to use 'conda activate'.To initialize your shell, run (0) | 2022.03.18 |
conda activate 오류 / conda activate 안됨 (0) | 2022.03.14 |
E: Unable to locate package nginx (0) | 2022.03.02 |
Failed to create bus connection: No such file or directory (0) | 2021.11.24 |